콘텐츠로 건너뛰기

물가와 물가 지수 그리고 인플레이션, 스태그플레이션 개념 정리

물가, 물가지수, 인플레이션

본 포스팅은 물가와 물가 지수, 그리고 인플레이션과 스태그플레이션의 개념 등에 대해 정리합니다. 우선 가격과 물가는 어떻게 다르고, 물가 지수는 어떻게 계산하며, 물가 상승률과는 어떻게 다른 지 알아보았습니다. 그리고 물가 지수의 종류와 활용처, 인플레이션의 종류와 유형에 따른 대책 등에 대해 학습해 보겠습니다.

물가, 물가지수, 인플레이션

물가, 물가 지수, 물가 상승률 개념

가격은 개별 재화와 서비스의 가치를 화폐 단위로 표시한 것입니다. 그리고 물가는 재화와 서비스의 가격을 일정한 기준에 따라 평균을 낸 종합적인 가격 수준입니다. 하지만 재화나 서비스 마다 가격이 다르고 이를 모두 파악하기는 어렵습니다. 그래서 우리는 물가의 움직임을 알아내기 위해 물가 지수라는 개념을 주로 사용합니다.

물가 지수는 물가의 움직임을 알기 쉽게 지수화한 경제 지표입니다. 계산 식을 살펴보면 쉽게 이해가 가능합니다.

물가 지수= (비교 시점의 물가 수준) / 기준 시점의 물가 수준 X 100

이처럼 기준 시점 기준 비교 시점의 물가가 몇 퍼센트(%)인지 나타내는 수치가 바로 물가지수인 것입니다. 이처럼 기준 시점의 물가를 100으로 설정했을 때, 비교 시점의 물가가 변동한 정도가 표시됩니다.

물가 지수는 자칫 물가 상승률로 오인 되는 경우가 많다. 물가 상승률은 아래와 같이 계산 됩니다.

전년(월) 대비 물가 상승률=[(금년(월) 물가 지수) – (전년(월) 물가 지수)]/(전년(월) 물가 지수) X 100

이처럼 전년과 금년 혹은 전월과 금월을 대비하는 경우가 일반 적이고, 물가 수준이 아닌 물가 지수를 기반으로 계산되는 값이라는 점에서 물가 지수와 큰 차이가 있습니다.

물가 지수의 종류

물가 지수로는 소비자 물가 지수, 생산자 물가 지수, GDP 디플레이터 등이 대표적으로 사용 됩니다. 우선 소비자 물가는 가계가 일상생활을 영위하기 위해 구입하는 재화 및 서비스의 종합적인 가격 수준을 측정하여 지수화한 것입니다. 반대로 생산자 물가 지수는 국내 생산자가 국내(내수) 시장에 공급하는 재화 및 서비스의 종합적인 가격 수준을 측정하여 지수화한 것입니다. 두 개념은 결정적인 차이는 ‘구입하는 가격’과 ‘공급하는 가격’에 있습니다.

GDP 디플레이터는 아래와 같은 식에 의해 계산되는 개념입니다.

GDP 디플레이터 = (명목 GDP)/(실질 GDP) X 100

명목 GDP와 실질 GDP에 대한 개념은 이전 포스팅에서 상세하게 다룬 바 있습니다.

국내 총생산(GDP) 뜻, 관련 지표, 한계 알아보기

GDP 디플레이터는 국내 총생산에 포함되는 모든 재화와 서비스의 종합적인 가격 수준을 지수화 한 것입니다.

물가 지수는 어떻게 활용될까?

물가 지수는 기준 시점의 물가 수준을 기준으로 비교 시점의 물가 수준을 쉽게 살펴볼 수 있는 개념입니다. 이를 바탕으로 화폐의 구매력 측정, 경기 동향 판단 지표, 전반적인 재화와 서비스의 수급 동향을 판단할 수 있는 지표 등으로 활용됩니다.

우선 물가가 상승하면 화폐의 구매력은 하락하고, 물가가 하락하면 화폐의 구매력은 상승합니다. 그래서 고물가 시대에는 화폐의 구매력이 약할 수 밖에 없는 이치입니다. 따라서 물가 지수가 높다면 기준 년도 대비 화폐의 구매력이 낮다고 볼 수 있는 것입니다.

한편, 일반적으로 경기가 좋아지면 물가가 상승하고, 경기가 나빠지면 물가가 하락합니다. 그래서 물가 지수는 경기의 동향을 판단하는 지표로서의 역할을 합니다. 이를 더욱 자세히 들여다 보면, 물가의 상승은 수요의 과잉과 공급의 부족을, 물가의 하락은 수요의 부족과 공급의 과일을 나타낼 수 있기 때문에 전반적인 재화와 서비스의 수급 동향도 물가 지수로 어느정도 파악이 가능한 것입니다.

인플레이션, 스태그플레이션이란?

인플레이션은 물가가 지속적으로 상승하는 현상을 의미합니다. 단순히 물가가 이전보다 높아진 상태가 아닌 지속적으로 상승하는 현상을 의미하는 것입니다. 인플레이션의 유형으로는 수요 견인 인플레이션과 비용 인상 인플레이션이 있습니다.

우선 수요 견인 인플레이션은 총 수요의 증가로 인해 발생하는 인플레이션입니다. 주로 경기 호황기에 나타나며, 총 수요 곡선이 우측 이동하여 물가와 실질 GDP가 증가하는 것입니다. 반면에 비용 인상 인플레이션은 원자재 가격, 원유 가격 등의 생산비가 상승해 총 공급이 감소하여 발생합니다. 총 공급 곡선의 좌측 이동으로 물가가 상승하지만 실질 GDP는 감소합니다.

비용 인상 인플레이션의 경우 스태그 플레이션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스태그플레이션은 스테그네이션(Stagnation)과 인플레이션(Inflation)의 합성어입니다. 경기 불활 중에도 물가가 지속적으로 상승하는 현상을 의미합니다.

인플레이션은 건전한 경제 성상의 방해 요인입니다. 투자와 생산 활동을 위축시키기 쉽고, 지속적인 물가 상승으로 인해 저축 의욕은 감소되고, 근로 의욕도 저하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국내 상품 가격은 상승하여 수출은 감소하는 데, 외국 상품의 가격은 상대적으로 하락하여 수입이 증가하여 경상 수지도 악화시킵니다.

인플레이션 유형에 따른 대책

그렇다면 인플레이션의 대한 대책은 무엇일까요? 원인이 다르기 때문에 수요 견인 인플레이션과 비용 인상 인플레이션으로 나누어 생각해 보아야 합니다.

우선 수요 견인 인플레이션의 경우 총 수요의 증가로 인해 발생합니다. 그래서 조세 징수 증대, 정부 지출 축소 등의 긴축 재정 정책을 발휘할 수 있습니다. 또한 통화량 감축이나 이자율 인상 같은 긴축 통화 정책을 펼칠 수도 있습니다. 그리고 불필요한 중복 투자와 투기를 억제하고 가계의 과소비를 억제하여 대책을 마련할 수 있습니다.

비용 인상 인플레이션의 경우 생산비의 상승으로 인해 총공급이 감소하여 발생하는 인플레이션입니다. 그래서 기술 혁신이나 경영 혁신 등을 통한 기업의 비용 절감, 임금의 과도한 상승 억제, 에너지 가격과 부동산 임대료 등의 상승 억제 등 생산비를 줄일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해 볼 수 있습니다.